본문으로 건너뛰기

함께 자라기 (애자일로 가는 길)

저자가 던지는 질문

  1. 내가 정말 자랄 수 있을까
  2. 우리가 정말 함께 자랄 수 있을까?
  3. 우리가 정말 매일매일 함께 자랄 수 있을까?

적극적 읽기

17p 사람을 잘 뽑았다는 것의 기준은 이 사람들이 채용된 후에 실제 직무를 하면서 얼마나 생산적이고 성과를 잘 내는지입니다.

Q. 나는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해 주간 얼마의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가? 이걸 구조적으로 작성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것 같다.

Q. 나에게 의도적 수련은 무엇일까? 약한 것들을 수련하는 게 무엇이 있을까?

39p 자신이 이미 갖고 있는 것들을 잘 활용해라. 외부 물질을 체화하라. 자신을 개선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생각해보자 -> 적용하고 있음. 피드백을 자주 받아라 / (일찍, 그리고 자주 실패하고 그 안에서 학습해라.) 자신의 능력을 높여주는 도구와 환경을 점진적으로 만들어라.

55p 실력을 개선하려는 동기가 있어야 한다. 구체적인 피드백을 적절한 시기에 받아야 한다.

113p 공유를 통해 신뢰를 쌓기 위해선 복수 공유를 해야 한다. 여러 결과물을 공유하자. -> 뭔가 아이디어가 있을 때 여러 프로토타이핑을 함께 준비해서 의견을 내자.

141p 내가 설득하고 싶은 상대를 자주 만나서 신뢰를 쌓고, 그 사람이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어떤 설명 방식을 선호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 동료들을 먼저 이해해보자.

154p 우리가 실생활에서 만나는 대다수의 문제는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입니다.

160p 한 번에 처리되는 일의 양을 줄여야 한다. 배치 사이즈를 줄여서 지속적 흐름을 만들고 짧은 시간 내에 탑, 바텀을 오가게 해야 한다. -> 매물 디자인 반영 건 사례가 있었음. 오호!! 이거 다음 스프린트에는 적용해보자.

177p 학습 속도가 빠른 팀은 심리적으로 보호가 되고 있다. 뭔가 새로운 것을 제안하고 시도하는 데에 열려 있었고 실패에 관대했으며 잠재적 문제를 지적하고 실수를 인정하는 데에 부담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183p 통상적으로 적어도 2~3배 일정을 더해야 80%의 확률로 마칠 수 있다고 한다.

198p 고객에게 매일 가치를 전하라.

적용점

2025-09-14

  • 실패 예방적 팀이 아닌 관리적 팀이 되는 것
  • 심리적 안전감을 주는 팀일 것
  • 결국 협력이었다...!!